인터넷은 전 세계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대한 시스템이다. 인터넷이 작동하는 방식을 고수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기본 구성 요소클라이언트와 서버: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컴퓨터, 스마트폰 등)와 서버(웹사이트,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를 제공한다.IP 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별된다. IP 주소에는 IPv4(예: 192.168.1.1)와 IPv6(예: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두 가지 버전이 있다.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DNS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
이 글은 아마노 에이지의 '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을 참고해서 만들어졌습니다.데이터란? 컴퓨터상에서 리소스를 공유하기 위한 정보. 이 정보는 Bit로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에서 필요한 것은?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기기, 인터페이스, 통신 매체, 프로토콜(통신 규약) 프로토콜이란?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 송신측과 수신측이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ex)01110(N) 01110(J)00101(E) 00101(A)10100(T) 10100(P)송신 수신이 경우 수신이 제대로 안된다.
이 글은 아마노 에이지의 '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을 참고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네트워크란? 무언가와 무언가가 무언가에 의해 연결되어서 무언가를 주고 받는 것을 뜻한다. 차례대로 노드, 노드, 링크, 데이터이다. 앞으로의 글에서 나올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뜻한다. 리소스란? 컴퓨터나 사용자가 가진 물리적, 논리적을 따지지 않는 자원을 뜻한다. 네트워크는 리소스를 공유가능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리소스를 공유한다. 뭔가 2일분을 요약했는데, 초반이라 그런지 복습할 부분이 없었다. 좀 더 많이 공부해야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