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프라란 '기반'이란 뜻으로, 우리의 생활을 지탱하는 바탕이나 토대라는 의미이다. 인프라 구조 자체는 복잡하지만,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서 사용자는 그 구조를 이해하지 않고도 간단히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IT 인프라'도 마찬가지다. IT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우리의 생활을 지탱하고 있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검색 엔진을 생각해 보자.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면 많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방대한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이것을 지탱하는 것이 IT 인프라이다.

인프라 아키텍쳐란 무엇일까? 

아키텍처란, 직역하면 '구조'라는 의미다. 여기서는 기차를 예로 들어보겠다. 기차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구조 자체는 거의 같다. 전기로 움직이거나 여러 객차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좌석이나 손잡이가 있다. 즉, 기차의 '구조'또는 '아키텍처'가 확립되고, 이미 공통화돼 있다.

'인프라 아키텍처'는 IT 인프라의 구조를 의미한다. 인터넷 검색 시스템이나 항공 회사 티켓 발권 시스템, 편의점의 계산대 등 모두가 이용 방법이나 사용자가 다르지만 IT 인프라 위에서 동작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인프라 아키텍처'는 실은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어서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진 채 움직인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