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부한거/Python

제어문(1)

tl;dr 2024. 7. 6. 19:55

인덴트(Indent)

인덴트란 문장 앞 들여쓰기로 문서를 읽기 쉽게 할 때 사용한다. 파이썬에는 인덴트를 사용해 그룹화하는 특징이 있다. C, C++, C#, Java, JavaScript 등의 언어에서는 여러 개의 문을 그룹화할 때 {}로 감싼다. {} 안의 부분은 하나의 명령처럼 다뤄진다.

C, C++ 등의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if (조건식) 명령

명령이 하나 이상일 때, {}로 감싸 여러 개의 문장을 하나로 합친다.

if(조건식){
	명령1;
	명령2;
}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해도 동작한다.

if(조건식){
명령1;
		명령2;
   명령3;
   }

"일부러 인덴트를 해서 보기 쉽게 하려는 거면, 반대로 인덴트함으로써 명령의 그룹화를 하면 좋지 않을까"로 나온 것이 파이썬의 사고방식이다. 파이썬의 if 문은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if 조건식:
□□□□명령1
□□□□명령2

□는 공백을 의미한다. 실제로 코드는 다음과 같이 짜야한다.

if(조건식):
    명령1
    명령2
명령3

if내의 조건을 만족했을 때는 명령1, 명령2가 실행되고, 그 후 명령3으로 간다. 반대로 조건이 성립되지 않을 때에는 명령1과 2를 건너뛰고, 명령3으로 진행된다. 

 

조건식 평가

 비교 연산자는 두 개의 값을 비교하고 부울값을 반환한다.

연산자 의미
A == B 두 개의 값이 같을 때 True를 반환
A != B 두 개의 값이 같지 않을 때 True를 반환
A < B A가 B보다 작을 때 True를 반환
A > B A가 B보다 클 때 True를 반환
A <= B A가 B 이하일 때 True를 반환
A > B A가 B보다 클 때 True를 반환
A >= B A가 B 이상일 때 True를 반환
A in B A가 B(리스트와 튜플에 포함돼 있을 때 True를 반환

 나머지는 C언어의 연산자와 똑같은데, A in B를 알아둬야할 것 같다.

 

부울 연산자를 사용하면 여러 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부울 연산자 의미
조건식1 and 조건식2 조건식1과 조건식2가 모두 True일 때 True를 반환
조건식1 or 조건식2 조건식1과 조건식2 중 하나가 True일 때 True를 반환
not 조건식1 조건식1과 반대 부울값을 반환

C언어에서 &&, ||, !와 사용법이 똑같다.

'공부한거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문 (3)  (0) 2024.07.15
제어문(2)  (0) 2024.07.15
print 함수  (0) 2024.07.01
파이썬 기초 - Sequence 확장  (0) 2024.07.01
파이썬 기초 - List, Tuple, Dictionary  (0) 2024.06.2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