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와 진짜 뭔가 기초적인거라 그런지 진짜 쓰기가 싫다... 근데 불편한 만큼 나중엔 편해지겠지라는 생각으로 적어본다.
if문
영단어 if은 "만약~라면"이라는 문맥에서 사용한다. 파이썬에서 if문도 동일하다. "어떤 조건을 충족했을 때 명령을 실행"할 때 사용한다. "if:else","if:","if: elif:"등 몇 가지 변형이 있다.
if: else:
조건이 성립할 때, 성립하지 않을 때, 각각에서 어떤 처리를 할 때 사용한다.
if 조건식:
조건식이 True일 때의 처리1
...
조건식이 True일 때의 처리n
else:
조건식이 False일 때의 처리1
...
조건식이 False일 때의 처리n
다음 처리
조건식과 else 뒤에 ":(콜론)"이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 뒤에서부터 블록이 시작된다.
인덴트돼 있는 범위가 블록이다. 인덴트 상태를 보면 블록 범위를 한눈에 알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보자.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출력하는 내용을 변화시킨다.
a = 3
if a % 2 == 0:
print("a is even")
else:
print("a is odd")
#a is odd
if:
조건이 성립할 때, 성립하지 않을 때, 각각에서 어떤 처리를 할 때 사용한다.
if 조건식:
조건식이 True일 때의 처리1
조건식이 True일 때의 처리n
다음 처리
if 뒤의 콜론부터 블록이 시작된다
다음은 in 연산자를 사용해 리스트에 포함돼 있는지 조사하는 예이다.
if "hello" in ("hello","world"):
print("hello is in the list")
#hello is in the list
if: elif:
여러 개의 조건을 사용해서 그것들의 조건에 따라 처리를 나눌때 사용한다. elif는 else if를 줄인 것이다.
if 조건식1:
조건식1이 True일 때의 처리1
...
조건식1이 True일 때의 처리n
elif 조건식2:
조건식2가 True일 때의 처리1
...
조건식2가 True일 때의 처리n
else:
위의 조건이 전부 False일 때의 처리1
...
위의 조건이 전부 Flase일 때의 처리n
다음 처리
과일에 따라 색을 돌려주는 샘플이다. else 다음이 필요 없다면 생략 가능하다.
fruit = "banana"
if fruit == "apple":
print("red")
elif fruit == "banana":
print("yellow")
else:
print("unknown")
#ye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