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 namespace FirstGrade { void introduce() { std::cout > x; if(x == 1){ FirstGrade::introduce(); }else{ SecondGrade::introduce(); } return 0;} 그냥 아예 박스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한마디로 파란공룡 노란공룡이 있는데, 파란 공룡은 상자1에, 노란 공룡은 상자2에 넣어둔다고 치자. 그냥 상자1::공룡()을 입력하면 파란 공룡이 나오고, 상자2::공룡()을 입력하면 노란 공룡이 나오는 식.
HDRI HouseHold Debt Risk Index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한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Data Structure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데이터 보관 방법과 데이터에 관한 연산의 총체를 뜻한다. int도 자료구조이다. int는 32비트 메모리 공간 안에 수를 할당하되 첫 비트를 부호 표현에 사용하는 등의 '보관 방법'을 정의하고 있고, 덧셈/뺄셈/나눗셈/곱셈/논리/시프트 등 다양한 '연산' 또한 정의하고 있다.Data Sturcture은 다음 그림과 같이 단순 자료구조 Primitive Data Structure과 복합 자료구조 Non-Primitive Data Structure로 나뉜다. 단순 자료구조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 형식을 말한다. 복합 자료구조는 다시 선형 자료구조와 비선형 자료구조로 나뉜다. 선형 자료구조는 데이터 요소를 순..
import time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from win10toast import ToastNotifier import schedule # 알림을 띄우는 함수 def show_notification(): now = datetime.now() print(f"Checking time: {now.strftime('%H:%M:%S')}") # 디버깅 메시지 toaster = ToastNotifier() toaster.show_toast("정각 알림", f"현재 시간은 {now.strftime('%H:%M:%S')}입니다.", icon_path=None, ..
import imaplib import email import os import re from email.header import decode_header, make_header # 네이버 웍스 IMAP 서버 설정 IMAP_SERVER = 'IMAP_PORT = EMAIL_ACCOUNT =PASSWORD = 'your_app_password' # 외부 앱 비밀번호를 여기에 입력하세요 # 저장할 디렉토리 설정 SAVE_DIR = './downloads' if not os.path.exists(SAVE_DIR): os.makedirs(SAVE_DIR) # 파일 이름을 유효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함수 def clean_filename(filename): filename = str(make_hea..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는 컴퓨터의 마더보드와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들(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 사운드 카드 등) 간의 연결을 위한 표준 버스 인터페이스이다. PCI는 1990년대 초에 인텔이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대충 한국어로 번역하면 주변 요소 상호접속기 NIC(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나 기타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다. NIC는 네트워크 어댑터(network adapter)라고도 불리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연결: 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다른 장치와..
인프라란 '기반'이란 뜻으로, 우리의 생활을 지탱하는 바탕이나 토대라는 의미이다. 인프라 구조 자체는 복잡하지만,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서 사용자는 그 구조를 이해하지 않고도 간단히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IT 인프라'도 마찬가지다. IT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우리의 생활을 지탱하고 있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검색 엔진을 생각해 보자.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면 많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방대한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이것을 지탱하는 것이 IT 인프라이다.인프라 아키텍쳐란 무엇일까? 아키텍처란, 직역하면 '구조'라는 의미다. 여기서는 기차를 예로 들어보겠다. 기차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구조 자체는 거의 같다. ..
for문for문은 반복 처리하기 위한 명령이다. if 문과 나란히 가장 자주 이용되는 명령 중 하나이다. 리스트와 튜플은 변수명 뒤에 "번호"를 붙여서 접근한다. 앞에서 설명한 while 문의 예에서는 변수 index가 번호의 역할을 했다. "변수 index를 0으로 초기화하고 차례대로 값을 증가하면서 배열에 접근해서 값을 구하는 것"이 정확한 사용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정말로 원하는 건 "번호"가 아닌 리스트나 튜플에 저장돼 있는 값일 것이고, 값만을 차례대로 꺼내는 구조가 있으면 번호는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 파이썬은 이걸 위한 구문이 준비되어 있다. for문을 사용해 앞의 예를 다시 작성해보자. >>>total = 0for score in subject: total += sc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