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전 세계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대한 시스템이다. 인터넷이 작동하는 방식을 고수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기본 구성 요소클라이언트와 서버: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컴퓨터, 스마트폰 등)와 서버(웹사이트,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를 제공한다.IP 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별된다. IP 주소에는 IPv4(예: 192.168.1.1)와 IPv6(예: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두 가지 버전이 있다.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DNS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페이지와 그 내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 웹사이트의 모습을 기술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다.여는 태그 (Opening tag): 이것은 요소의 이름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는 p), 여닫는 꺾쇠괄호로 감싸진다. 이것은 요소가 시작되는 곳, 또는 효과를 시작하는 곳임을 나타낸다. 이 예제에서는 문단이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낸다.닫는 태그 (Closing tag): 이것은 여는 태그와 같지만, 요소의 이름 앞에 전방향 슬래시가 포함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것은 요소의 끝을 나타낸다. 이 예제에서는 문단이 끝나는 위치를 나타낸다. 초보자가 가장 흔히 범하는 오류 중 하나가 닫는 태그를 쓰지 않는 것으로 이상한 결과가 표시된다.콘텐츠 (Cont..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는 양식이 있는 문서의 한 종류이며 그 양식을 태그(좌, 우 부등호 처럼 생긴 꺽쇠 로 구분)등으로 구분하여 문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서이다.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언어의 일종이다. 데이터를 기술한 언어라는 점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다르다.그럼 이런 문서는 대체 왜 생겼으며 어디에 사용하고 있을까?마크업 언어는 이 자체로 뭔가가 있는 것은 아니고 여러 마크업 언어를 통틀어 말한다. 즉 HTML, XML 등을 마크업 언어라고 하고 그러한 것들이 나오게 된 데는 거의 대부분 컴퓨터와 관련이 있다.최초의 문서는 당연히 아무것도 없는 글씨였을 것이다. 예를 들..
인덴트(Indent)인덴트란 문장 앞 들여쓰기로 문서를 읽기 쉽게 할 때 사용한다. 파이썬에는 인덴트를 사용해 그룹화하는 특징이 있다. C, C++, C#, Java, JavaScript 등의 언어에서는 여러 개의 문을 그룹화할 때 {}로 감싼다. {} 안의 부분은 하나의 명령처럼 다뤄진다.C, C++ 등의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if (조건식) 명령명령이 하나 이상일 때, {}로 감싸 여러 개의 문장을 하나로 합친다.if(조건식){ 명령1; 명령2;}극단적인 경우에는, 이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해도 동작한다.if(조건식){명령1; 명령2; 명령3; }"일부러 인덴트를 해서 보기 쉽게 하려는 거면, 반대로 인덴트함으로써 명령의 그룹화를 하면 좋지 않을까"로 나온 것이 파이썬의 사고방식이다..
컴퓨터 구조 분야의 8가지 위대한 아이디어1. Moore 법칙을 고려한 설계 18개월~24개월마다 칩에 집적되는 소자의 수가 2배가 된다는 법칙. 컴퓨터 설계자는 프로젝트의 시작 시점보다 종료 시점의 기술을 예상해야한다는 것. 2. Abstraction(추상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수준에서 설계를 명시하는 Abstraction을 활용하는 것임. 하위 수준의 상세한 사항을 안 보이게 함으로써 상위 수준 모델을 단순화하는 것. 3. Prediction(예측) 허락을 구하는 것보다 용서를 구하는 것이 낫다는 말이 있음. 이 말이 맞는 경우, prediction은 위대한 아이디어임. 예측을 잘못해서 이를 복구하는 비용이 비싸지 않고, 예측이 성공할 확률이 비교적 높은 경우, 예측..
교양수준의 지식을 알려준다. 그리고 꽤나 오래전 지식들이라 좀 걸러서 공부해야할 것 같다. 컴퓨터가 사용되는 3가지 응용 분야1. 개인용 컴퓨터2. 서버 과거 대형 컴퓨터로 불리던 것의 현대적 형태.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접근되고, 대형 작업 수행에 이용된다.3.임베디드 컴퓨터자동차에 들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디지털 텔레비전 등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현대식 비행기나 화물선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네트워크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임베디드 프로세서 설계에는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가 많이 이용된다. 프로세서 코어란 Verilog나 VHDL 같은 하드웨어 기술 언어(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형태로 제작된 프로세서 버전이다. 코어를 사용하면 특수한 응용에 특화된 하..
이 글은 아마노 에이지의 '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을 참고해서 만들어졌습니다.데이터란? 컴퓨터상에서 리소스를 공유하기 위한 정보. 이 정보는 Bit로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에서 필요한 것은?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기기, 인터페이스, 통신 매체, 프로토콜(통신 규약) 프로토콜이란?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 송신측과 수신측이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ex)01110(N) 01110(J)00101(E) 00101(A)10100(T) 10100(P)송신 수신이 경우 수신이 제대로 안된다.
print() 인수로 주어진 정보를 console에 표시하는 함수다.print("hello") -> helloprint(3) -> 3print(False) -> Falseprint("Hi!", "Python", 3) -> Hi! Python 3 #여러개 출력여러개를 출력하려면 ,를 통해 출력한다. 다른 형의 데이터를 여러 개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다.1. %연산자를 활용하는 방법"1=%s 2=%s" % ("Hello", "World") -> '1=Hello 2=World'"value=(%d, %d)" % (2,5) -> 'value=(2,5)'"score=%f" % (2.457) -> 'score=2.457000''''문자열에 지정하는 서식은 다음과 같다.%s 문자열%d 10진수%x 16진수%f 10진 f..